【금강저】

밀교의식에 쓰이는 작법용 불구로 번뇌를 없애는 보리심을 상징한다. 제존존상이 가진 법구 스님들의 수행도구로 사용된다. 원래는 고대 인도의 무기였다. 밀교에서 불구로 채용한 것은 제석천이 금강저를 무기로 삼아 아수라를 쳐부순다는 신화에서 비롯됐다. 우리나라의 밀교계 종파에서는 진언을 외우며 수행할때 항상 금강저를 휴대하게 되어 있다. 근본 뜻은 여래의 금강과 같은 지혜로써 능히 마음속에 깃든 어리석은 망상의 악마를 파멸시킨다는 것이다. 밀교의 만다라에는 금강부의 여러 존상들이 모두 금강저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금강역사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금강저로 모든 악마를 티끌같이 쳐부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신중탱화에서는 동진보살이 반드시 금강저를 들고 있다. 금강저는 금.은.동.철 등으로 만들어지며 형태는 손잡이 양쪽이 뾰족한 끝을 가졌다. 모양에 따라 뾰족한 끝이 하나인 것은 독고, 2.3.4.5.9 갈래로 갈라진 것은 2고저. 3고저. 4고저. 5고저. 9고저라 한다. 최초에는 그 형태가 무기형으로 뾰족하고 예리했으나 불구로 사용되면서 끝의 가락이 모아지는 형태로 바뀌었다. 독고가 가장 오래된 형태이다. 손잡이 좌우에 불꽃 모양을 조각한 것은 보저라 하고, 탑을 조각한 것은 탑저라고 한다.

SNS 기사보내기
전수진 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