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의 석탑 양식을 따른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에서 청동병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지난 7월 25일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해체보수 과정에서 청동병(높이 22cm, 가장 넓은 동체부 너비 11cm)이 발견됨에 따라 분석을 통해 삼층석탑의 제작연대 등을 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청동병은 삼층석탑 3층 탑신석 하부에서 나왔으며, 사리를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26일 월남사지 현장에서 청동병을 수습했다. 센터는 추후 엑스레이(X-ray)와 CT(컴퓨터단층촬영) 촬영 등 비파괴조사와 부식물 제거․안정화 처리․재질강화처리 등 각종 보존처리를 할 예정이다. 또한, 청동병의 3분의 1가량이 흙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 흙을 조사해 유물의 정확한 성격과 제작연대도 파악할 계획이다.


월남사지 삼층석탑은 월남사 터에 남아 있는 8m의 거대한 3층 석탑으로, 단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백제 석탑의 기본양식을 따르고 있다. 삼층석탑의 제작연대를 후삼국기인 견훤대로 보는 견해와 고려 무신정권기인 13세기 또는 고려 후기로 보는 견해 등 여러 학설이 있다. 학계에서는 청동병을 분석하면 삼층석탑의 제작연대 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밝혀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발견한 청동병의 조사․연구를 비롯해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의 해체․보수를 더욱 신중히 추진하고, 월남사지 발굴조사와 주변 정비사업을 통해 문화재의 역사적 가치 규명과 보존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석탑은 지난 2013년 안전진단 결과, 석재 간 벌어짐과 응력(변형력) 집중으로 인해 남쪽 면과 서쪽 면의 수평변형이 발생하고 지반 일부에서 이완층이 나타났다. 이에 문화재청은 해체․보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2014년 관계전문가 진단을 거쳐 2015년부터 보수정비 기본계획 수립, 석탑 해체보수 설계, 석탑 해체보수 등 일련의 사업을 진행해 왔다.






SNS 기사보내기
전영숙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