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연구소는 2015년 11월 19일(목) 14시부터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 문수실에서 ‘고려시대의 불교와 국가 2 - 고려시대 불교의 정치·사회적 기능’을 주제로 2015년도 2차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불교사회연구소는 2014년부터 호국불교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불교와 국가’를 주제로 각 시대별·국가별 불교와 국가와의 관계를 조망하는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4년 7월에 ‘한국 고대 불교와 국가’를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고, 같은 해 12월에는 ‘한국·중국·일본의 불교와 국가’를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다.

2015년 7월 ‘고려시대의 국가와 불교’라는 큰 주제 하에 개최된 1차 학술세미나에서는 <고려시대의 정치권력과 불교>라는 소주제로 국가와 왕실, 무인정권 등이 불교계를 우대하는 동시에 통제하기 위하여 취한 정책을 검토하고, 그런 국가체제에서 벗어나 자율성을 추구했던 결사불교가 다시 정치권력과 연결되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11월 19일(목) 개최되는 2차 학술세미나에서는 ‘고려시대의 국가와 불교’ 두 번째 편으로 <고려시대 불교의 정치·사회적 기능>을 살펴볼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김창현 교수(고려대학교)는 ‘고려시대 승병의 성격과 역할’을 주제로 고려전기부터의 승병의 존재 양상과 역할에 대해 개관하고, 승병의 존재가 불교계의 위상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발표한다.

한기문 교수(경북대학교)는 ‘주현 자복사와 향도의 역할’을 주제로 지방 군현의 자복사와 지방 사찰을 거점으로 한 향도의 사례들을 개관하고, 고려의 지방 사회 운영에서 사찰이 담당한 역할에 대해 발표한다.

박용진 교수(국민대, 고려대장경연구소)는 ‘고려시대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기능’을 주제로 대장경에 대한 서지학적인 기존 연구와는 달리 고려가 대장경을 갖게 된 정치, 외교적 배경과 대장경 제작 과정의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 대장경 제작과 유통의 사회적 의미 등에 대해 발표한다.

발표가 끝난 뒤 사회를 맡은 동국대학교 최연식 교수와 각 주제 발표자, 교원대학교 이병희 교수와 동국대 불교학술원 김천학 교수가 <고려시대 불교의 정치·사회적 기능>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하는 토론의 장이 마련된다.


문의는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02-730-0093, 담당 박미경 연구원)로 하면된다.








SNS 기사보내기
곽선영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