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경주 남산을 사진으로 읽는다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주 남산은 전체가 불국토라 할 만큼 많은 절터로 이어져 있다. 100여 곳의 절터, 80여 구의 석불, 60여 기의 석탑이 산재해 있는 노천박물관으로, 남산은 크게 신라 태동의 성지 서남산, 미륵골 · 탑골 · 부처골 등 수많은 돌 속에 묻힌 부처가 있는 동남산으로 구분된다. 산 전체가 문화유적의 보고라 할 만한데, 남산 전체에 산재한 문화재들을 사진으로 읽는다는 어떤 의미일까?

“사진은, 사진적 이미지즘은 사진가 개인과 관련된 특수한 이미지 기호일 것이다. 작가의 삶의 역사, 연륜, 경험, 지식의 총체적 시각 속에 비춰진 지극히 개인적인 이미지 층위이다. 그 앞에 사물과 자연이 있음이다. 시간은 흐른다. 자연은 시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반복한다. 그 어떤 사물이든 생물이든 그 자리에 그대로 정지함은 없다. 색이 바래고 모양이 변형된다. 일체가 당연하게 흐르고 이어지는 사건의 지평선이다. 그러함에도 그 속에서 미세함이나 다름을 발견하고 싶은 것이다. 작가든 감상자든. 그 미세함의 차이는 역시 개인적 삶의 경험과 인식과 감각의 총체적 시각 속에 비춰져 나타나며 풀어내고 읽어 낸다. 사진가는 그 미세함을 이미지 속에 담았다. 감각의 총체적 층위는 걸러지고 해체되고 포개어진 이미지들의 겹을 통해, 이미지 너머의 이미지를 불러 펼쳐 낸다.”

본문의 글을 빌려오면, 사물과 자연이 있고, 시간 속에 끊임없이 변화를 반복하여 색이 바래고 모양이 변형된, 일체가 당연하게 흐르고 이어지는 그 속에서 작가는 미세함 혹은 미세함의 차이를 이미지에 담고, 독자인 우리는 그것을 보고 읽는다는 것이다.

경주에 오랫동안 살면서 사진을 찍어온 작가는, 찰나의 틈새를 놓치지 않았다. 눈이 내리는 날을 기다렸다가 흰 눈에 장엄된 문화재를 찾아 나서고, 화강석의 선각불상 위로 아침 태양빛이 비칠 때를 기다렸다 황금빛으로 장엄된 마애불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렇게 절기와 때와 자연조명을 맞추어 동남산 · 서남산에 산재한 34점의 문화재를 담았다.

『경주 남산 사진으로 읽다』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경주 남산 일원, 불곡 마애여래좌상, 탑곡 2사지 마애불상군, 헌강왕릉, 서출지, 오산곡 마애불, 나정, 일성왕릉, 남간사지 당간지주, 포석정,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등 34점의 문화재를 세밀하고 섬세한 사진과 미려한 문장으로 우리 눈앞에 보여주듯 풀어놓고 있다.



저자 : 박명순


사진 : 박근재




경주 남산 사진으로 읽다 ㅣ 박명순 지음 | 박근재 사진 | 한생각 | 값 22,000원






SNS 기사보내기
전수진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