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고 아픈 나를 위한 상처회복 에세이

“나는 내 상처를 말하지 못하는 사람이었다.” 
우울증, 자살충동, 외상 후 스트레스 등을 겪은 후 문학치료사가 되기까지
치유자는 어떻게 자기 상처를 치유하는가.

다른 사람의 상처를 이해하는 힘은 내가 입은 상처를 이해할 때 깊어진다. 미국의 영성신학자 헨리 나우웬은 이를 ‘상처 입은 치유자(Wounded Healer)’로 설명한다. 한때 저자 역시 우울증, 자살충동, 외상 후 스트레스 등을 겪으며 고통의 시간을 살았다. 이후 10년 넘게 문학치료사로 활동하면서도 저자는 오랫동안 자신의 고통을 말하지 못했다. 그것은 (고)마광수 교수와 관계가 있었다. 저자는 자신이 마광수가 아끼던 제자였고, 그 때문에 마음의 병을 앓았으며 심지어 죽음까지 기도했다는 사실을 차마 고백할 수가 없었다. 그것은 한국인이 가장 혐오했던 사람들 중 한 사람이 바로 마광수였기 때문이다. 문학을 사랑했던 마광수와 저자는 누구보다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스승과 제자 사이였다.

하지만 1999년 겨울, 마광수 교수의 재임용을 반대하는 학내 세력과 갈등을 벌이면서 평온하던 두 사람도 흔들리기 시작한다. 1992년, 《즐거운 사라》 필화 사건에 이어 존경하던 스승의 정신적 추락을 지켜보면서 저자는 큰 충력에 빠진다. 당시 수줍음 많던 문학도였던 그는 ‘마광수 교수 복직위원회’ 위원장까지 맡으면서 스승을 지키려고 노력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그 과정에서 그 역시 자신을 향한 학내의 집단적 폭언과 따돌림을 겪으면서 절망의 나락으로 빠진다. 이 일로 마광수와 저자는 사람과 사회에 대한 환멸에 몸서리쳐야 했다. 급기야 마광수는 외상 후 스트레스로 정신과 약을 복용하는 극단의 상황까지 내몰렸다. 한 사회나 집단이 가하는 심리적 폭력은 한 사람의 삶을 송두리째 무너뜨릴 만큼 강력하다. 이런 의미에서 저자는 마광수와 자신이 겪은 고통이 ‘개인적 상처이자 동시에 사회적 상처’라고 말한다.



저자 : 박민근
어린 시절 미술과 글쓰기에 빠져 살았다. 꿈은 늘 화가였지만 10대 후반, 가난 때문에 화가의 꿈을 포기하며 첫 번째 우울증이 찾아왔다. 힘든 시간을 책으로 견디며 문학가의 꿈을 다시 품게 되었다.
희망에 차서 들어간 연세대 국문과에서 마광수 교수와 운명 적으로 만났다. 그와의 만남은 삶의 빛과 어둠을 동시에 선사했다. 1999년, 마광수 교수의 재임용 심사 문제로 학내 사태를 겪으며 극심한 우울증으로 고통의 시간을 보냈다.
이때에도 치유서 읽기를 통해 우울증을 극복하며 내적 성장을 경험했다. 그 시절 책을 통한 치유의 경험으로 독서치료의 세계에 들어섰다. 현재 박민근독서치료연구소의 소장으로서 철학과 심리학, 문학을 통섭한 상담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마음의 일기》《치유의 독서》《성장의 독서》《나는 내 상처가 제일 아프다》《당신이 이기지 못할 상처는 없다》 등이 있다.





살아낸 시간이 살아갈 희망이다 l 박민근 지음 | 생각속의집 | 값 14,000원








 

 

SNS 기사보내기
전수진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