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의 대표적인 재가불자이자 ‘장갑 작가’로 잘 알려진 정경연 홍익대 교수의 전시회 한창이다.


서울 사간동 현대화랑에서 7년만의 개인전을 연다. 힘든 미국 유학 시절을 거쳐 최연소 홍익대 교수(섬유미술·패션디자인)로 임용된 그는 장갑이라는 화두로, 장갑은 모녀 관계를 연결하는 정겨운 물건에서 고국에 대한 그리움도 상징하고, 서민적인 애환과 평등의 상징물로도 진화했다.


1974년 한겨울 당시 미국 보스턴에서 남편과 가난한 유학시절을 시작하던 작가 정경연(61)에게 어머니가 보낸 소포가 도착했다. 상자를 열어보니 편지 한 통과 함께 면장갑 100켤레가 쌓여 있었다. 행여라도 딸의 손이 틀까 걱정스러운 어머니의 마음이었다. 순간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가만 있을 수 없어 장갑에 솜도 넣고 물감도 칠하기 시작했다. 어버이날 선물로 보낼 작정이었다.


그 작업을 보던 교수가 “신선한 재료에 너무 창의적이다. 졸업 작품전에 찬조 출품해 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그리하여 40년째 장갑을 그리며 ‘장갑 작가’라는 별칭을 얻은 정경연 작가 얘기이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힘들었던 미국 유학시절, 한국의 어머니가 보내준 면장갑을 받고 느낀 따스한 감흥은 작가가 처음 장갑을 작품에 사용하게 된 계기가 됐다.


xbvnxbnxbn.jpg

작품 제목은 ‘무제’ ‘하모니’ ‘어울림’ 등이다. 작가는 반야심경의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표현을 빌어 “‘무제’라는 제목은 ‘비어 있다’ ‘없다’는 뜻이 아니라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경연 작가는 미술계의 대표적인 여성 재가불자로서 작품에 불교적 세계관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아내고 있다.

작가는 작품을 만드는 과정 자체를 하나의 수행이라고 생각한다며 작품을 계속해서 만들기 위해 반야심경에 대한 수행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정경연 교수의 예술세계를 만날 수 있는 작품 전시는 오는 11월 29일까지 서울 삼청동 현대화랑에서 만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곽선영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